
남양주 왕숙 신도시는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진건읍, 양정동 일원에 조성되는
수도권 3기 신도시로,
총 1,177만㎡(약 356만 평) 규모의 부지에
약 6만6,300호의 주택이 공급될 예정입니다.

지구 구성 및 규모
왕숙 신도시는 두 개의 지구로 나뉩니다.
- 왕숙1지구: 약 938만㎡ 부지에 5만2,380호의 주택이 공급됩니다.
- 왕숙2지구: 약 239만㎡ 부지에 1만3,878호의 주택이 공급됩니다.
교통 인프라: 왕숙 신도시는 광역교통망 확충을 통해 서울 도심까지의 접근성을 높일 계획입니다.
- GTX-B 노선: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 B노선이 신도시를 경유하여 서울 도심까지의 이동 시간을 단축시킬 예정입니다.
- 수도권 전철 4호선 진접선: 이미 준공된 진접선 풍양역이 2028년 개통 예정입니다. 서울 도심까지 진입이 수월합니다.
- 강동하남남양주 도시철도 신설: 지하철 9호선의 연장이 계획되어 있어 대중교통 편의성이 향상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자족 기능 및 개발 계획
왕숙 신도시는 주거와 일자리, 교육, 의료, 문화 등 도시 인프라를 융합하여 배치할 예정입니다.
특히, 판교 제1테크노밸리의 2배에 달하는 자족용지를 조성하여 다양한 산업과 비즈니스 기능을 유치할 계획입니다.
진행 상황
2023년 10월 15일에 왕숙 신도시의 착공식이 개최되었으며,
2024년 하반기 분양을 시작으로 2026년 하반기부터 입주가 시작될 예정입니다.
주민 반응
일부 지역 주민들은 교통 혼잡 등의 우려로 신도시 개발에 반대하는 목소리를 내고 있습니다.
주변 신도시와의 연계
왕숙 신도시 주변부에는 이미 개발이 완료된 다수의 신도시와 택지지구가 위치하고 있습니다.
별내신도시의 이마트와 지하철8호선, 다산신도시의 현대프리미엄 아울렛 스페이스원,
갈매신도시의 모다아울렛 구리시 롯데백화점과 인접하여 인프라와 생활권을 동시에 누릴 수 있습니다.
남양주 왕숙 신도시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려면
신설 도시철도인 강동하남남양주선을 살펴봐야 합니다 🔬
강동하남남양주 도시철도
|
역번
|
역명 |
승강장
|
급행
|
환승노선
|
소재지
|
|
|
형태
|
횡단
|
|||||
|
고덕나루역 (가칭)
|
■││■
|
○
|
급
|
|
||
|
신강일역 (가칭)
|
■││■
|
○
|
급
|
|||
|
미사강변역 (가칭)
|
■││■
|
○
|
급
|
|
||
|
지금역 (가칭)
|
■││■
|
○
|
급
|
|
||
|
일패역 (가칭)
|
■││■
|
○
|
급
|
|||
|
왕숙역
|
■││■
|
○
|
급
|
|||
|
진건역 (가칭)
|
■││■
|
○
|
급
|
|
||
|
내곡역 (가칭)
|
■││■
|
○
|
급
|
|
||
|
풍양역
|
│■│
|
○
|
급
|
|||
강동하남남양주선은 서울 강동구에서 경기도 하남시와 남양주시를 연결하는 광역철도 노선으로,
도시철도 9호선의 급행열차만 투입되어 운행되는 노선입니다.
노선 개요
- 총 연장: 약 17.59km
- 정거장 수: 총 8개소 (서울 1개, 하남 1개, 남양주 6개)
- 차량기지: 남양주에 1개소 설치 예정
주요 경로: 서울 강동구 고덕동 고덕나루(가칭)역에서 출발하여
하남시 미사지구를 거쳐 남양주시 진접2지구까지 연결됩니다.
개통 목표: 2035년 개통을 목표로 추진 중입니다.
기대 효과: 이 노선이 개통되면 남양주 진접2지구에서 서울 강남구 논현동까지의 이동 시간이 현재 버스로 약 72분에서 지하철로 약 51분으로 단축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남양주와 하남 지역의 교통 혼잡 완화 및 서울 도심 접근성이 크게 향상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참고로, 강동하남남양주선은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포함되어 있으며, 현재 기본계획 수립 단계에 있습니다.
신설 역사 분석
- 고덕나루역: 강동 고덕비즈밸리와 JYP본사앞에 자리할 도시철도 정거장입니다. 서울 지하철 9호선과 일반열차 환승이 가능하고 정상적인 서울시계 역사라서 매우 수요도가 높은 역사입니다.
- 신강일역: 강일지구 북부에 위치할 예정입니다. 위치가 이상한 강일역과 달리, 수요도가 높은 위치에 건설됩니다.
- 미사강변역: 상업지구에 있는 미사역과 달리, 주거지구에 위치하여 출퇴근 이용자가 많은 정거장입니다.
- 지금역: 별내선 도시철도의 혜택으로 서울 지하철 8호선의 짧은 배차간격을 누리는 다산신도시와 달리 전혀 도시철도 혜택을 못본 지금지구에 놓이는 첫 도시철도 정거장입니다.
- 일패역: 경의중앙선의 극악 배차간격을 보완해주고 강남권 환승의 편의를 고려한 역사입니다.
- 왕숙역: 왕숙신도시 왕숙 1지구에서 가장 중심이 되는 정거장 입니다. GTX B노선과 경춘선 환승을 통해 거점역사로 육성될 전망입니다.
- 내곡역: 왕숙 1지구에 위치한 역사입니다.
- 풍양역: 수도권 전철 4호선과 환승이 가능하고, 왕숙 신도시 외에도 진접지구와 장현지구 환승객 수요도 상당한 역사입니다.

남양주 왕숙 신도시는 수도권 주택 공급 확대와
경기 북부 균형 발전을 목표로 추진되는 대규모 프로젝트로,
향후 수도권의 주거 및 경제 환경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됩니다.
'교통 개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 3기 신도시 탐색 🔎 광명 시흥 신도시 편 (5) | 2025.01.22 |
|---|---|
| 3기 신도시 탐색 🔎 부천 대장 신도시 편 (2) | 2025.01.22 |
| 3기 신도시 탐색 🔎 하남 교산 신도시 편 (0) | 2025.01.22 |
| 중앙선 · 동해선 · 중부내륙선 철도 🚆 동시 개통 (0) | 2025.01.21 |
|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선 🚝 (파주 운정중앙-서울역) 개통 (5) | 2025.01.20 |